비점오염저감시설이란
비점오염저감시설은 수질오염방지시설 중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수질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감소하게 하는 시설을 말한다. <법 제2조제13호>
비점오염원의 정의
비점오염원이라 함은 도시, 도로, 농지, 산지, 공사장 등으로서 불특정장소에서
불특정하게 수질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배출원을 말한다. <법 제2조제2호>
01

exposition 1
산업단지 · 공업지역
각종 야적장, 대형트럭분진, 폐기물 등
다양한 오염물질이 비와 함께 하천으로 갑니다.
특히 화약물질이나 유류 등이 많아
세심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02

exposition 2
도로 · 주차장 등 포장면
타이어마모, 적재물 낙하, 자동차 배기가스 등 도로에 쌓여있는
각종 오염물질들이 비와 함께 하천으로 흘러들어갑니다.
특히 중금속, 오일류 등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비오기 전 청소가 중요합니다.
03

exposition 3
주거지역 및 상업지역
우리가 살아가는 다양한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이 비와 함께
하천으로 흘러들어갑니다.
04

exposition 4
가축지역 · 농촌지역
농약, 퇴비, 비료, 토사, 분뇨 등 농·축업활동에
따라서 발생되는 오염물질들이 비와 함께 하천으로 갑니다.
특히 영양물질과 병원균 등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비오기 전 비료 살포 등을 주의해야 합니다.

비점오염저감시설 종류

여과형 시설
강우유출수를 집수조 등에서 모은 후 모래, 토양 등의 여과재를 통하여 걸러
비점오염물질을 줄이는 시설

스크린형 시설
망의 여과 분리 작용으로 비교적 큰 부유물이나 쓰리기 등을 제거하는 시설로서
주로 전처리에 사용하는 시설

저류시설
강우유출수를 저류하여 침전 등에 의하여 비점오염물질을 줄이는 시설 (지하저류조)

침투시설
강우유출수를 지하로 침투시켜 토양의 여과, 흡착 작용에 따라
비점오염물질을 줄이는 시설 (침투도랑)